2025. 2. 27. 08:00ㆍ독서
페이지 9~10
첫째, 10원도 아껴라. 모이면 목돈이 된다.
둘째, 죽음 힘을 다해 “종자돈”을 만들어라
눈덩이 이론이 중요하다. 돈도 일정 크기를 넘어야 눈덩이처럼 불어나기 시작한다.
최대한 빨리 종자돈을 만들고, 일찍 시작해라. 그래야 눈덩이 굴릴 언덕이 길어지고 눈덩이가 더 커진다.
셋째, 종자돈으로 “땅과 집”에 장기 투자해라
페이지 21 ~22
돈도 모아 본 사람이 돈맛을 알 수 있다. 자주 돈맛을 경험해야 한다. 아끼는 맛, 잘 쓰는 맛, 모으는 맛을 자주 경험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처음부터 돈의 감각이 뛰어나다. 타고난 감각은 떨어지지만, 노력으로 감각을 기르는 사람도 있다.
페이지 25
농업 사회에서는 주로 몸으로 하는 일, 산업혁명 이후에는 머리에 의한 노동, 즉 기술이 밥을 만들었다. 그러다가 금융주의 시대가 오면서 노동의 역할이 축소되고 자본의 역할이 커지기 시작했다.
자본이 노동을 대체하고 있다. 돈이 돈을 벌어 밥을 먹여주는 시대다.
페이지 28~30
너희 아버지처럼 근로자의 인생을 살지 말아라.
직장생활의 비애는 “더럽고, 구차하고, 부끄러운” 그런 것이다.
“월급에는 욕 값이 포함된 거다”
근로자가 아닌 사업가와 자본가로 살아가길 바란다.
이 이사회공동체의 질서보다, 내 자식의 행복을 더 바라고 있다.
직업은 처음부터 돈 버는 일이 핵심이고, 자아실현은 그 일을 하다가 발생하는 부수적인 결과물이다.
아버지는 딱 두 가지로 직업을 구별하고 있다. 하나는 “가家”이고, 다른 하나는 “자者”이다. “가”와 “자”는 그곳에서 종사하는 사람을 부르는 호칭에서 의미를 자져왔다.
첫째, “가”는 사업가 또는 자본가이다.
둘째, “자”는 기술자 또는 노동자이다.
셋째, 가는 “사업체와 자본”에 바탕을 둔 직업이고, 자는 “자격증과 노동”에 바탕을 둔 직업이다.
페이지 33~ 부의 계단에 올라라
첫째, 아동기 : 출생부터 학업을 마치는 시기, 돈의 소비 원리를 깨우치는 시기이다.
둘째, 청년기 : 아동기 이후 ~ 40대 중반, 근로소득에 집중하는 시기
셋째, 장년기 : 청년기 이후 ~ 60대 중반, 사업소득에 집중하는 시기
넷째. 노년기 : 장년기 이후 ~ 사암, 자본 소득에 집중하는 시기
페이지 68
우리 삶의 90%가 돈과 관련이 있다. 돈 공부, 경제 공부는 삶의 본질을 공부하는 것이다. 그래서 누군가에게 종속된 삶이 아니라 주도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해라.
페이지 69
복리 효과는 일상의 규칙을 넘어서는 비법이며, 시간이 우리에게 선사하는 성공의 마법이다.
일정한 금액을 꾸준하게 쌓는 것이 복리효과이고, 이 복리 효과에 의해서 돈은 스스로 제 몸집을 불린다.
페이지 78
큰 부자는 시대와 운 등 여러 요소가 필요하지만, 작은 부자는 경제적인 지출만으로 가능하다.
페이지 101
국가는 조세 저항 없이 세금을 걷고자 한다. 그래서 세금은 우리 주머니에서 돈을 빼앗아가는 고도의 기술로 발달했다.
페이지 112
경제공부를 한 사람은 가치가 변하지 않는 자산을 가지고 있으면, 돈은 저절로 벌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세상은 점점 돈을 가진 사람이 더 많이 벌 수 있는 금융자본주의가 굳어지고 있다.
시간이 지나도 가치 불변인 물건을 사두는 것이 바로 자본 투자다.
페이지 200
신이 아버지에서 다시 스무 살 청춘으로 돌아갈 수 있게 기회를 준다고 해도 절대로 돌아가지 않겠다. 왜냐하면 아버지는 그때가 인생에서 제일 힘들었기 때문이다. 다시는 그 과정을 반복하고 싶지 않다.
아버지의 시대까지는 대학이 성공의 사다리 역할을 했다. 아버지는 그 사다리의 끝을 겨우 잡고 일어나 그래도 이제는 제법 성공한 50대가 되었다.
너희들은 온몸을 다해 노력해도 어쩌면 아버지만큼의 성공도 보장받기 어려울 것이다.
페이지 220
자동차로 너의 품위를 유지하려고 할 필요가 없다. 사람의 품격은 보이는 자동차의 등급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가슴 속 마음”과 “주머니 속 돈”에 있다.
페이지 251
세상은 절대 공평하지 않다. 공평이란 단어는 국어사전에나 나오는 단어이고, 세상에서는 사어이다. 네가 공평, 공정, 평등을 외쳐도 소용없다. 내가 변화해서 “힘”을 가지지 못하면 불평, 불만, 하소연에 불과하다.
페이지 260
너의 선택이 너의 인생이 된다.
우리 앞에는 수많은 선택이 놓여 있다.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는 모두 개인의 몫이다.
부모는 아들이 현명한 선택을 하기를 바랄 뿐이다.
페이지 297
가난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그저 불편할 뿐, 이 말은 거짓말이다.
가난은 불편한 것이 아니라, 부끄러운 것이다. 그 부끄러움 때문에 슬픈것이다.
나의 첨언
”나는 가난이 제일 싫다. 그 무엇보다 싫다.
빌게이츠가 이야기한 가난은 “가난하게 태어난 것을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 가난하게 죽는 것은 당신의 잘못이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승호_돈의 속성(1/3)_복리, 부자가 되려면 (1) | 2025.03.25 |
---|---|
김승호 회장_돈의 속성 중 좋은 돈을 끌어당기는 방법 (2) | 2025.03.06 |
슈퍼리치들에게 배우는 돈 공부 (0) | 2025.02.15 |
위기의 시대 / 돈의 미래_짐로저스 (0) | 2025.02.12 |
부의 인문학_브라운스톤(우석)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