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동산(29)
-
아파트, 영끌 대신 지분투자 "한국형리츠"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의 부동산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지분형 주택금융' 도입을 제시한 가운데,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도입을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했습니다.한국형 리츠는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제안된 제도로, 리츠가 아파트를 공급하면 주택 수요자가 지분을 투자하고 임차인으로 거주하는 방식입니다. 지분형 주택금융은 집을 구매할 때 부족한 자금을 대출이 아닌 지분투자 형식으로 공공부문에서 출자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주택 매입자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아파트 가격의 50%씩을 부담해 소유권을 절반으로 나누고, 아파트를 매도할 때는 매도가격의 절반을 각자의 지분율에 따라 분배하는 방식입니다 리츠(REITs)는 서울 및 수도권 등에서 주택가격이 안정적으로 상승할..
2025.04.06 -
2035 과천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2025.03.31
-
e북용. 우리집 우리동네 정비사업가이드
서울시가 발간한 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어느 곳에서 진행되는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우리 집·우리 동네 정비사업 가이드’입니다.서울시는 시민들이 살고 있는 지역 여건에 맞는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관련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대시민용 정비사업 안내서입니다
2025.03.31 -
2025년 KB부동산 보고
2025년 주택시장 하향 안정, 정부 정책 방향이 중요한 한 해가 될 전망 주택시장은 2022년 하반기 이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흐름은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높은 가격에 대한 부담, 대출 규제 등의 하락 요인과 함께 공급 부족, 금리 인하등의 상승 요인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선호도에 따른 지역별 차별화 현상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 올해 주택시장의 가장 큰 변수는 정부의 정책이 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하반기 시장 흐름에서 볼 수있듯이, 실수요자 중심인 현재의 주택시장에서 대출 규제의 영향은 상당히 크다. 올해 주택시장의 또 다른변수는 주택 공급이 될 수 있다. 공사비 증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경색으로 민간 공급이제한적인 상황..
2025.03.21 -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정부가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서울 주택 시장을 억제하기 위해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카드를 꺼내들었다. 지난달 오세훈 서울시장이 해제 발표한 지 한 달여 만이다. 정부는 규제지역을 추가 확대할 수도 있다며 가계대출 관리와 공급 확대 등 부동산 시장 과열을 선제적으로 막기 위한 종합 대책을 예고했다.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은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며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전체에 대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 지정하겠다고 밝혔다.지정 기간은 오는 24일부터 9월 30일까지 6개월이다.앞서 오 시장은 지난달 12일 강남 지역 주요 단지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발표했는데, 한 달 만에 구역을 확대 재지정하게 된 셈이다.
2025.03.19 -
2025 KB 부동산 보고서_250317_115150
KB금융그룹이 '2025 KB 부동산 보고서' 발간하여습니다.올해 주택 매매가격에 대해 부동산 전문가(62%), 공인중개사(79%), PB(62%) 등 모두 하락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지역별로는 비수도권에 대해서는 부동산 전문가 84%와 공인중개사 71%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수도권에 대해서는 부동산 전문가 54%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공인중개사 56%는 하락 가능성을 높게 봤다.특히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7.2% 상승해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3.3㎡당 매매가격은 1억원에 육박했다. 압구정2구역 내 '신현대아파트' 35평은 지난해 말 51억원에 매매가 이뤄지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전체적인 매수세 위축에도 강남구에 대한 매수 수요는 ..
2025.03.17 -
주택 가격 상승 경로
강남3구 -> 판교/분당 -> 용인수지 -> 용인기흥강남3구 -> 과천/판교 -> 평촌/인덕원 -> 산본강남3구-> 목동/과천 -> 광명/송도 -> 시흥 다들 알고 계신 것처럼 주택가격의 확산은 한강에서 멀어지는 순서로 확산됩니다.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