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3. 08:00ㆍ경제/시황
1. 금값 vs 미국 GDP & M2

금값은 미국의 GDP와 M2와 같은 방향으로 우상향 하고 있습니다.
경제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M2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GDP도 증가하며, 같은 기울기로 금값도 우상향 합니다.
2. 금값 vs 미국 FRED Asset

금 값이 미국금융위기 시기(2008년)에 때 양적완화로 인해 유동성 증가하여 급격히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2013년에도 양적완화를 시행하였으나 이때는 금값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2019년 말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시기에 다시 양적완화를 시행하였으며, 금값이 상승하였습니다.
2022년 이후 최근까지 긴축을 진행 중이지만 금값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3. 금값 vs 미국 기준금리

금값은 미국 기준금리가 급격하에 내려가는 시기 특히 금융위기(2008년), 코로나 팬데믹(2019년 말)에 다소 오르며, 이 시기에 이후 금리가 변동 없이 정체되어 있을 때에도 오르는 경향을 보입니다.
4. 금값 vs 미국 달러 인덱스

일반적으로 금값은 달러 인덱스에 역행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아닌 것 같습니다. 달러가 강세인데 금값도 강세입니다.
5. 금값은
1) GDP와 M2가 증가하면 상승합니다. 화폐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이지요.
2) 양적완화를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면 시간차를 두고 상승합니다. 양적완화를 실시하는 이유는 시장이 침체되었기 때문이며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해서 바로 시장이 살아나지 않기 때문에 시간차가 발생합니다. 양적완화로 인한 화폐공급으로 M2가 증가하고 GDP가 증가하여야 금값도 증가하는 것입니다.
3) 미국의 금리와 달러 인덱스와는 역행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금리가 정체되는 구간에서 그리고, 달러 지수가 낮아지는 구간에서 금값의 상승이 나타났지만, 예상했던 것보다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ttps://thecolor.tistory.com/104
금값 상승 이유, 그리고 금에 투자하는 방법
금값이 금값이 되고 있다. 최근 금값이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어,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의 상승세도 뚜렷하다. 이미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지만 더 상승할 재료들이 있기 때문에 금
thecolor.tistory.com
'경제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류 기법 (0) | 2025.03.14 |
---|---|
인텔, 신규 CEO 선임과 향후 전망? (1) | 2025.03.13 |
2024년 국가별 자동차 생산규모 (1) | 2025.03.12 |
오라클(ORCL) F3Q25 실적발표 (0) | 2025.03.11 |
나스닥, 내년 하반기부터 '24시간 거래' 도입을 추진 중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