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기업 지형도

2025. 2. 8. 08:00경제/시황

728x90
반응형
SMALL

눈을 씻고 찾아봐도 우리니라 기업은 없네요.
HBM을 만드는 삼성전자, 하이닉스도 나름 포털을 가지고 있는 네이버도 없습니다.
이번 AI에 따른 4차 산업혁명에 뒤쳐지면 되돌릴 수 없을 수 있습니다. 정부의 역활이 정말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 합니다. 정부가 방향성을 가지고 주도하고 지원하여야 합니다.

과연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지?
전세계적으로 AI를 위해 지원하고 있는 데...
우리나라 정부는 당파싸움에만 전념하고 있네요.
참 우리나라는 지금 무정부 상태지요.

개인적으론 삼성전자를 살리는 데, 정부가 지원 했으면 좋겠습니다. 정경유착 이런거 이야기 하지 않을 테니. 삼성전자가 사라진 한국의 위상이 국제사회에서 어떨지 상상해보셨나요. 그리고 국민의 삶을 상상해보셨나요.

저는 삼성전자와 어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임직원도 주주도 아닙니다.
가전은 모두 LG입니다. 가전은 LG니까요.
아... 갤럭시를 쓰고 있기는 합니다.

정치와 기업은 별개이며 분리 되어야 한다.

다 개똥 입니다. 뭐가 젤로 중요 합니까.
경제 아닌가요. "문제는 경제야"라고 외치며 대통령이 백악관에 입성한 빌클린턴이 생각나네요.

국민이 힘든데 투명하고 공정하게 지원하고 지원 내용을 밝히고 지원 받는 기업들은 그만큼 보답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특히 미국은 대놓고 기업들을 밀어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지요.
미국만이 아닙니다. 주위의 일본, 중국, 대만도 대놓고 밀어주는 데 우리는 잘나가던, 우리나라 GDP의 20%를 차지하던 기업이 쓰러져 가고 있는 데... 지원해야 하지않을까요?
설마 쓰러지겠어? 하면서 방치해야 하나요?
쓰러지고 후회해요 하나요?

소잃고 외양간 고치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그렇게 방치해서 쓰러지면 누가 가장 힘들까요. 그리고  피해는 누가 책임지나요.
기업일은 기업이 알아서 해야 하나요. 기업의 이익이 국민 경제에 영향을 주는 데도.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지원을 해서 다시 일어나 경쟁력을 가지도록 정부가 도와주면 안되는 건가요.
이러한 생각이 듭니다.

일반적으로 보수는 신자유주의에 기반하고 진보는 수정자본주의에 기반하지 않나요.
전자가 시장이 주도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정부가 주도하는 차이 입니다. 모두 자본주의입니다.

한쪽으로 치우치면 국민들이 알아서 투표를 통해 균형을 맞춥니다. 미국이 그렇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