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6)
-
오건영_부의 대이동
환율과 금리는 '돈의 값'을 말합니다. 그리고 금과 달러는 '실물 화폐' 와 '종이 화폐' 자체를 말합니다. 모든 투자는 돈을 갖고 하기에 돈의 값 을 알고 돈 자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필수겠지요. 미국 S&P 지수 장기 차트 위의 그래프는 미국의 대표 주가 지수인 S&P500 지수입니다. 주식시장을 보면 일단 상승이나 안정기는 상당히 길고 완만하게 나타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하락장은 그리 자주 나타나지 않죠. 드라마 틱한 하락장은요, 정말 짧고 굵게 찾아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다리는 하락은 오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답니다. 한 번 찾아오면 임 팩트 있게 시장을 흔들어놓지만, 어쩌다 한 번씩 찾아오는 그런 위기의 하락장을 기다리면서 안전 자산 베팅을 크게 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
2025.04.03 -
3월 FOMC
1) 금리 동결, 4.25%~4.5% 목표 범위 내에서 유지2) 점도표(dot plot), 2025년에 중앙값으로 예상되는 금리가 50bp 인하 3) 성명서 변경(추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삭제) 고용 및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대한 위험이 "대략 균형을 이루고 있다"4) 경제전망2025년 말 기저 인플레이션 추정치는 2.8%로 상향 조정(vs. 12월 2.5%)2025년 말 경제 성장률 전망은 1.7%로 크게 하향 조정(vs. 12월 2.1%)5) QT 축소연준은 4월부터 자산 축소 속도를 늦추기로 결정 ($250억 → $50억)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연준 이사는 자산 축소 속도를 축소에 반대 6) 오늘의 주인공은 "일시적(Transitory)" ■ Pow..
2025.03.21 -
금값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
1. 금값 vs 미국 GDP & M2 금값은 미국의 GDP와 M2와 같은 방향으로 우상향 하고 있습니다.경제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M2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GDP도 증가하며, 같은 기울기로 금값도 우상향 합니다. 2. 금값 vs 미국 FRED Asset 금 값이 미국금융위기 시기(2008년)에 때 양적완화로 인해 유동성 증가하여 급격히 상승하였습니다.하지만, 2013년에도 양적완화를 시행하였으나 이때는 금값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2019년 말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시기에 다시 양적완화를 시행하였으며, 금값이 상승하였습니다.2022년 이후 최근까지 긴축을 진행 중이지만 금값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3. 금값 vs 미국 기준금리 금값은 미국 기준금리가 급격하에 내려가는 시기 특..
2025.03.13 -
한국은행 기준금리 3.25%에서 3.00%로 0.25%p 하향 조정 2024.11.28
-
국채는 유동성의 어머니
"국채는 유동성의 어머니"라는 표현은 국채 시장의 높은 유동성이 전체 금융 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뒷받침하는 근간이 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국채의 유동성은 금융 시장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며, 경제 전반의 자금 흐름과 가격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채는 금융 시장에서 가장 유동성이 높은 자산 중 하나로 간주되며, 이는 다음과 같은 특성 때문입니다 안정성: 국채는 정부가 발행하므로 신용 위험이 매우 낮아 안전자산으로 인식됩니다거래 용이성: 국채는 대량으로 쉽게 매매할 수 있어 거래가 활발합니다좁은 매수-매도 스프레드: 국채의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좁아 유동성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국채의 높은 유동성은 전체 금융 시장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기준금리 역할: 국채 금리는 다른 금융..
2024.11.27 -
국채의 금리
국채의 금리 결정 원리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됩니다.국채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국채 가격이 상승하고, 국채 금리는 하락합니다. 반대로, 국채의 수요가 공급보다 적으면 국채 가격이 하락하고, 국채 금리는 상승합니다. 국채 국채는 만기까지 정해진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는 원금을 상환하는 채권입니다. 국채에 투자하려는 투자자가 많아지면 국채의 수요가 증가하고, 국채의 가격이 상승합니다. 반대로 국채에 투자하려는 투자자가 줄어들면 국채의 수요가 감소하고, 국채의 가격이 하락합니다.국채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만큼의 수익을 얻기 위해 투자해야 하는 이자율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국채의 금리는 국채의 가격과 반대로 움직입니다. 즉, 국채의 가격이 상승하면 국채 금리는 하락하고, 국채의 가격이 하락하면 국..
202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