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4)
-
증류 기법
거대 인공지능(AI) 모델을 압축해 작고 빠른 모델을 만드는 '증류 기법' 확산이 빅테크의 AI 비즈니스 모델을 바꿀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최근 증류 기법 확산이 거대 모델을 개발하는 빅테크의 비즈니스 수익에 영향 미칠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증류 기법은 거대 AI 모델을 압축해 더 작고 빠른 모델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거대 모델이 학습한 내용을 소형 모델에 전달하는 식으로 개발됩니다. 마치 경험이 많은 사람이 핵심 개념을 정리해 초보자를 가르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보통 거대 AI 모델 훈련·유지에는 수십억 달러가 필요하며, 증류 기법으로 개발된 모델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기법은 수년 전부터 활용됐지만, 최근 AI 중소·스타트업에서 활..
2025.03.14 -
챗봇, 최근 6개월 동안의 성능 변화
최근 공개죈 xAI의 그록3는 GPT-4o를 능가하며, 추론 모델 벤치마크에서 오픈AI의 o3-미니 시리즈를 상회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LMSYS 챗봇 아레나에서 1400점 기록으로 제미나이 2 Pro, 딥시크 V3, GPT-4o를 제쳤으며, 수학(AIME 2024)과 과학(GPQA) 분야에서도 경쟁 모델을 압도했습니다. 챗봇의 최근 6개월간 성능 변화경쟁 구도 비교모델주요 강점약점 모델주요 강점약점그록3추론 성능·과학/수학 분야 우수성음성 기능 미완성딥시크 R1저비용 개발·일부 벤치마크 우위데이터 유출 논란·규제 압력챗GPT검색 시장 확장·생산성 도구 강화일반 지식 검색 점유율 하락 최근 6개월간 그록3의 급성장과 딥시크의 규제 이슈, 챗GPT의 검색 시장 진출이 AI 생태계 변화를 주도하며, 추론 ..
2025.03.04 -
중국 10대 기술주, '테리픽 10'(Terrific 10)
올해 중국 기술주가 급등하면서 미국 '매그니피센트 7(M7)'의 수익률을 훌쩍 뛰어넘고 있다. 중국 10대 기술주를 뜻하는 '테리픽 10'(Terrific 10)이라는 용어까지 생겼습니다. 중국 기술주가 급등하자 로이터 등 외신은 '테리픽 10'(Terrific 10)'이라는 용어까지 만들졌습니다.테리픽 10'(Terrific 10)은 SMIC, 지리차, 바이두, 넷이즈, 징동닷컴, BYD, 샤오미, 메이퇀, 텐센트, 알리바바를 이야기 합니다. 2025년 2월 19일까지 이들 10개 종목의 수익률 평균은 28.3%에 달합니다. 홍콩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파운드리 업체 SMIC 수익률이 62.9%로 1위를 차지했으며 알리바바가 50.6%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앞서 언급한 샤오미와 BYD도 수익률 각각 43..
2025.02.24 -
M 7이 L 7 된다?
‘M7′ 용어 창시자 하트넷 경고 “일본·EU 은행주가 투자 유망”미국 증시를 이끄는 7개 대형 기술주를 가리키는 ‘M7(Magnificent7)’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던 월가 전문가가 “앞으로 M7은 시장 흐름을 후행하는 L7(부진한 7종목)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월가에선 L7을 뒤처진다는 뜻의 Lagnificent 7이라는 신조어로 해석하기도 한다.4일 비즈니스인사이더 등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마이클 하트넷 최고투자전략가는 최근 투자자 메모에서 “M7이 더는 미 증시를 선도하지 못하고 시7장 수익률 대비 ‘뒤떨어지는(lag)’ L7이 될 것”이라며 “투자자들은 비싼 미국 주식을 좇지 말고 저렴한 해외 주식을 매수하라”고 권고했다. 하트넷은 2023년 S&P500의 상승세를 이끈..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