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정석_동부증권

2025. 2. 17. 08:00알투잡지

728x90
반응형
SMALL

주식시장의 구루(Guru)는 투자할 때 산업 내 헤게모니부터 확인한다고 한다. 또한 시장은기대를 넘어서는 실적을 통해 가파른 주가상승을 나타내는 주식을 주도주로 부르며, 우리는산업 구조조정 이후 되살아난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공급부족 상황에서 거래의 헤게모니를보유할 때 주도주가 탄생한다고 생각한다.

산업 구조조정 이후 되살아난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공급부족 상황에서 거래의 헤게모니를 보유한 기업은 상상을 초월하는 실적을 통해 가파른 주가상승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주도주라고 부른다.
이와 강력한 모멘텀을 가진 주도주를 어떻게 찾고, 분석하여 어느 기간 동안 투자할 지에 관한 글이다. 투자의 핵심은 시간과 명확한 기준이다.

헤게모니의 변화에 따른 4가지 국면을 정의해 주도주를 어떻게 발굴하고, 언제까지 투자해야 하는지 투자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국면별 사례분석을 통하여 실제사례를 점검하였다.
1국면 : 수요회복으로 인한 매출액 발생으로 턴어라운드 초기 국면 확인. 매출 성장이 유지될 수 있을지, 향후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을지 확인하여 주도주 판단 근거 제시
2국면: 헤게모니를 통한 초과이익 발생 구간으로 영업레버리지 효과 시작. 언제까지 헤게모니를 유지할 수 있을지 판단하는 것이 핵심. 헤게모니 보유기간이 곧 투자기간으로 주도주 투자기간에 대한 명확한 기준 제시 3국면 : 모두가 흥분할 때 혼자 뒷문으로 나가는 시기. 헤게모니 변화를 감지, 산업 내 경쟁강도 변화로 헤게모니를 상실한다면 더 이상 주도주가 아닌 상황으로 신중한 대응이 필요한 시기
4국면 : 지속적인 실적 하락, 관심을 갖기엔 이른 시기.
헤게모니를 잃은 기업은 매출 감소폭보다 영업이익 감소폭이 커 실적과 함께 주가도 수직 급락하는 시기로 1국면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기

헤게모니를 가진 주도주를 찾아 헤게모니를 보유한 기간 동안 투자하자는 것이다

New 헤게모니에 투자하라

영원한 승자도, 영원한 패자도 없다는 것이다. 단순한 결론이지만 이 구도를 이해하면 New 헤게모니 포트폴리오를 수립할 수 있다.
헤게모니는 지역, 국가, 산업 및 기업의 경계를 넘나들고 시대의 흐름과 함께 이동했다.
‘New 헤게모니에 투자하라’는 곧 시대의 변화와 함께 하라는 것이다. 앞으로 투자자는 변화가 무엇을 촉발했으며, 방향은 어딜 향해가며, 파급효과는 어떠한 지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할 것이다. 예전의 고정관념을 고집하는 것은 파멸로 가는 지름길이다. 살아남고자 하는 투자자는 패러다임의변화를 받아들일 것이고, New 헤게모니 투자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New 헤게모니 정의

광범위한 의미에서의 헤게모니는 시장의 관심이 집중된 ‘주도주’를 일컫는다. 수많은 투자자들이열광하는 주식이다. 폭발적인 실적 성장과 멀티플 상승이 함께 어우러져 주식의 가격은 적정가치이상으로 상승한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긍정적인 모멘텀이 발생하며, 주가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투자자는 왜 이렇게 헤게모니에 열광하는 것인가? 아주 간단명료하다.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이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처음으로 발흥했던 12~16세기 유럽에서는 ‘몰락한 귀족’이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등장했다. 당시 최초의 자본주의 형태인 상업 자본주의가 등장하면서 패러다임이 바뀌기 시작했다. 하지만 상당수의 영주, 기사, 귀족은 이런 패러다임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처참하게 몰락했다. 반면 변화에 잘 대응한 신흥 상인 계급은 새로운 지배계층으로 떠올랐다.

헤게모니의 사회적 현상

선진국과 신흥국의 지수 움직임을살펴보면 헤게모니가 변해 발생한 파급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이 선진국보다 빠른 회복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그것은 2011년도까지이다. 이후에는 두 움직임은 확연히 나뉘었다. 이유는 간단하다. 헤게모니가 이동했기 때문이다.

헤게모니 보유 효과

헤게모니 보유 여부에 따라 처우는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목표주가(Target Price)는 EPS * PER로계산된다. 헤게모니를 보유하게 되면 PER의 상승효과가 나타난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EPS도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 때문에 주식의 가격은 가파르게 상승하게 된다.

헤게모니를 꿈 또는 거품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것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는 명확하게 숫자로 표현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헤게모니 보유 효과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헤게모니는 Multiple 상승을 이끌고 이후 EPS는 점진적으로 증가 -> 목표주가 상승

헤게모니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


국가 간 헤게모니 싸움은 더욱 강력해졌다.
첫째, 통화정책이다.
둘째, 재정정책이다.
셋째, 제도이다.

New 헤게모니 4국면

New 헤게모니는 주식시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해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New 헤게모니는 4국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각 국면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하지만 강력한 ‘트리거’ 발생이 국면 전환의 주요 원인임을 확인했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국면은 산업의 헤게모니가 회복되고 있으나 기업의 헤게모니는 감지되지 않는다.
2. 국면은 산업의 헤게모니가 본격화된 가운데 기업의 헤게모니도 상승하는 단계이다.
3. 국면은 산업의 헤게모니가 둔화되고 있으나 기업의 헤게모니는 유지되고 있다.
4. 국면은 산업의 헤게모니가 상실되었고 기업의 헤게모니도 서서히 하락한다.

각 국면별로 사례 및 체크포인트를 검토하고 구체적인 투자방안을 제시했다.

헤게모니 결정 3요소

① 의미 있는 실적변화에, ②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③ 해당 산업/기업이 사회적인 트렌드로 자리매김했을 때 비로소 헤게모니를 가진 주도주가 탄생한다. 만약 관심이 쏠리고, 트렌드에 부합하더라도 실적이 따라오지 않으면 테마주에 그쳐 올랐던 주가는 단기 상승에 그칠 것이다. 즉, 아래 세 가지 조건 점검은 헤게모니 투자에 필수적이다.



헤게모니를 가진 것이 결국 시장의 주도주가 되고, 투자자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점은 두말할 나위 없는 논리이다.
그러나 명확한것은 세상이 변한 만큼 시장에도 새로운 투자 지침서가 절실해졌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이 자료의표지부터 지금까지 저변에 깔려있는 생각이다. 앞으로도 시대를 풍미할 수 있는 New 헤게모니를찾기 위한 노력은 가속화될 것이다.
국가 - 산업단의 경쟁이 어느 때 보다 치열해진 지금, 현재우리가 처한 국면의 위치를 보고, 헤게모니를 분별할 수 있는 눈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격변하는 시대에 투자자들의 고민은 깊다. 앞으로도 더욱 예측 불가한 매크로 환경, 산업 사이클및 기업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예측하고 대응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투자의정석_1-2-3합본_220905_250120_165643.pdf
4.19MB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