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차
2025. 2. 25. 22:30ㆍ경제/시황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금리 0.25%p 인하…연 3.0→ 2.75% 내렸다. 2년여 만에 '2%대 시대로'로 복귀 했다
기분 금리 인하로 한미 기준 금리차는 1.75%로 확대 되었다.
원론적으로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을 크게 밑돌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있다.
원화 약세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 상승과 함께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도 원론적으로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을 크게 밑돌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있다. 원화 약세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 상승과 함께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질수 밖에 없다.수 밖에 없다.

국내외 기관의 올해 한국 경제 성장 눈높이도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11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6%로 내렸고, 계엄 전까지 2.0%에 이르던 해외 투자은행(IB)들의 평균도 최근 1.6%까지 떨어졌다.

한은까지 이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끌어내리자, 금통위도 "이자 부담을 줄여줘야 민간 소비·투자가 살아나고 자영업자·취약계층의 형편도 나아진다"는 주장과 압박을 두 달 연속 외면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짐작된다.
728x90
반응형
'경제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8 미국 시장 Review, 트럼프 관세 사이클 (0) | 2025.03.01 |
---|---|
Morgan Stanley 선정 100대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0) | 2025.02.26 |
중국 10대 기술주, '테리픽 10'(Terrific 10) (0) | 2025.02.24 |
테슬라 사이버트럭 최고 등급(5-스타) 안전 평가 (0) | 2025.02.21 |
팔란티어 주가 단기 급락에 대한 생각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