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조건 _하버드 연구

2025. 3. 16. 08:00생각정리

728x90
반응형

하버드대학에서 행복한 삶에 대해서 종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행복에 대하여 인생에서 명확한 정답은 없더라도 모범이 되는 답은 존재하기에 하버드 대학의 연구자료를 명기하였습니다.


행복의 7가지 조건
1. 고난에 대처하는 자세 (성숙한 방어기제)
2. 지속적인 교육 (지적인 호기심)
3. 안정적인 결혼생활 (관계)
4. 비흡연 또는 45세 이전 금연
5. 적당한 음주
6. 규칙적인 운동
7. 적당한 체중 유지

리스트를 보고 나름의 해석을 해 보면...
1~3 : 정신적인 건강 (정서. 지적. 관계)에 대한 것
4~7 : 육체적 건강에 대한 것

건강한 신체에 건정한 정신이라는 문구가 바로 행복의 조건인가?

1.  고난에 대처하는 자세 (고난 극복)
가장 중요한 것은 어려움을 대처하는 자세
누구나 삶에서 어려움에 직면하는 경우가 생기기에 이걸 잘 극복하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입니다.

2. 지속적인 교육
배움의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 역시 특이한데...
배움의 즐거움이라는 것이 있으며 새롭게 배우는 과정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다고 얘기하는 것 같습니다.
관성으로 살아가는 것은 무미건조하고 무료할 수도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가는 것은 지적호기심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3. 안정적인 결혼생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의지할 수 있는 누군가가 필요하며 가장 가까이 있는 배우자와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배우자뿐 아니라 지인들과의 좋은 관계는 좋은 인생을 만들겠지요.

양이 중요할 수도 있겠지만 질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양질을 모두 추구)

4.5.6.7은 모두 육체적 건강에 대한 것인데...
육체와 정신은 이원화된 것이 아니라 하나로 연결된 것으로 보면, 육체적 건강이 행복감을 가져다 주는 것인가라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담배는 피우지 말고, 술은 많이 마시지 말고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적당한 양의 술을 마셔야 합니다.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과 좋은 영양 섭취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위의 7개 항목에서
50세에

5~6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50%가 80세에도 행복하며 건강하다고 하며, 5%만 불행을 느낀다고 합니다.
3개 이하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 80세에 행복하다고 답한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3개 이하만 만족하는 사람은 4개 이상 만족하는 사람보다 80세 이전에 사망할 확률이 3배 높다고 합니다.

제 몸이 아프면 부정적이 되고, 예민해지고 만사가 귀찮게 되기 때문에 행복을 위해서는 건강이 가장 기본인 것 같습니다.
건강한 신체에서 건전한 정신이 비롯된다는 말이 있듯이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들겠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좋은 음식 먹고, 잘 자고 (규칙적인 수면), 스트레스 관리 잘 해야 합니다.

 

행복은 즐거움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라는 어느 책의 구절이 생각나네요. 행복은 한방보다는 일상 속 작은 즐거움의 합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