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11)
-
정치인의 돈 풀기
정치인 특히 대선 후보들의 돈 풀기 공약은 과연 취약 계층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일까? 혼자 생각해본다.우선 시장에 돈을 푼다돈을 풀게 되면 시장에 돈이 늘었으니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입니다.인플레가 발생하면 자산 가격이 상승하겠지요?자산이란 집, 채권, 주식, 코인, 금 등.취약계층이 자산이 있나요? 자산이 있으면 취약계층이 아니라고요? 맞습니다. 자산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산 상승은 남의 일이 되겠지요.인플레가 발생하면 물가도 상승합니다.생필품 가격도 오르지요. 생필품 오르는 데 우리 월급도 오르겠지요. 오릅니다. 하지만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이 있지요. 급여는 생각보다 많이 오르지 않을 겁니다. 물가 상승률보다 적게 오를 겁니다. 취약계층의 일자리는 안타깝게도 고부가가치 산업일 가능..
2025.04.20 -
금리와 자산에 대하여
금리는 돈의 가격이다. 돈에도 가격이 있는 것이다. 돈을 빌려주는 사람 입장에서는 돈을 쓸 기회를 포기한 대가를 받고, 돈을 빌리는 사람 입장에서는 돈을 빌리는 대가로 이자를 지불해야 한다. 금리가 높으면 돈을 빌리는 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투자를 줄이고 소비를 늘리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소비가 증가하면 물가가 상승하고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경제가 성장하면 생산량이 증가하고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경제 성장으로 인해 임금이 상승하게 되며,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여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이것이 최근 많이 보도되고 있는 인플레이션이다. 당연히 반대는 디플에이션이다. 예를 들어, 경제가 성장하여 임금이 10% 상승하여 유통되는 돈의 양이 10% 증가하게 되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
2025.04.19 -
Nobody Knows (Yet Again)_Howard Marks
제목: Nobody Knows (Yet Again)저자: Howard MarksPerplexity Pro. 요약1. 2008년 금융 위기와 유사한 상황 - 2008년 리먼 브라더스 파산 이후의 금융 위기와 현재의 상황을 비교하며, 불확실성과 예측 불가능성이 높아졌음을 강조. - 금융 규제 완화, 주택 시장 붐, 무분별한 모기지 대출, 높은 등급의 증권화, 레버리지 높은 은행의 투자, 상호 연결된 은행 간의 위험 등이 위기를 초래한 요인으로 언급.2. 불확실성과 투자 -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특히 위기 시점에서는 더욱 그렇다고 주장. - 투자 결정을 내릴 때 확신이나 자신감을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으며, 논리적인 결론을 도출하여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3. 트럼프 행정부의 불..
2025.04.10 -
인플레이션 / 스테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지금의 시장상황과 금리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고물가 저성장의 시기이며, 앞으로 어떻게 진행 될까?저물가 저성장으로 진행이 유력해보인다. (아래 참조)고물가/고성장 => 고물가는 성장을 위축시키게 됨 => 고물가/저성장 => 고물가(인플레)를 잡기위해 금리를 높아지며 이로 인해 물가상승이 위축됨 => 저물가/저성장 => 유동성 공급 => 고물가/고성장상승은 공포에서 시작한다.저물가 저성장 시대에 투자해야 하는 회사는 어디일까?성장하는 회사에 투자해야 하지 않을까? 성장하는 회사는 빅테크 그래서 애플/MS/테슬라/ 알파벳/ 엔비디아 등 아닐까?고성장, 고물가의 시기 좋은 인프레이션 경기가 성장하면서 수요의 증가로 물가가 오르며 주가도 상승하는 시기 경기 성장 / 물가 상승 / 주가 상승 / 장단기 금..
2025.04.08 -
트럼프_취임 첫날 발표된 행정명령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연설 후 예고대로 행정명령과 주요 정책 방향을 잇달아 발표하였습니다..(바이든 행정명령 78개 폐지) 현지 시간 기준(21일 12:00am)까지 발표됐던 트럼프의 행정명령 및 발언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부 행정명령은 향후 소송으로 인해 법원에서 효력이 취소될 가능성도 존재) 1) 관세 우려 일부 완화: 대중, 보편적 관세 부과는 하지 않은 점이 긍정적 멕시코, 캐나다에 대해 25% 관세 부과는 시사했지만 대중 관세를 부과하지는 않았고, 10% 보편적 관세 부과는 준비되지 않았다고 발표한 점이 긍정적대중 관세는 틱톡 매각 합의가 조건이나 중국은 최근 틱톡 합의를 용인하는 모습을 보임. 중국 외교부는 틱톡 매각을 불허한다는 입장에서 운영과 매입/매각 ..
2025.01.21 -
달러 시뇨리지(Dollar Seigniorage)
시뇨리지(Seigniorage)는 화폐 발행을 통해 얻는 경제적 이익을 의미합니다. 이는 화폐의 액면가에서 제조 비용을 뺀 차익으로,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화폐를 발행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말합니다.시뇨리지 = (발행한 화폐로 매입한 자산의 이자 수익) - (화폐 발행 비용 + 기타 운영 비용)시뇨리지의 개념은 중세 유럽의 봉건 영주들이 화폐를 주조하면서 이득을 챙기던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중앙은행이 무이자의 화폐를 발행해 유이자의 금융 자산을 취득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방식으로 활용됩니다.달러와 같은 기축통화를 발행하는 국가는 시뇨리지 효과를 통해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달러 발권을 통해 재정 적자를 보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화폐 발행이 과도할 경우, 인플..
2024.11.04 -
자본주의_EBS
EBS의 자본주의를 읽기 전 정말로 많은 경제 서적들을 읽었었다. 무작정 읽었다. 영어 단어 외우듯 경제용어들을 외우려고 노력했으며, 수학공식 풀듯 하려고 했다.하지만 이해되지 않는 문구들이 너무 많아 정말 고민을 많이 했다. 경제라는 것이 이렇게 어려운 것인가?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깨닫기 시작했고, 이제까지 읽었던 책들이 도움이 되기 시작했다.이 책을 읽으면서 이전 / 이후가 분기되는 느낌이다.자본주의 경제를 가장 쉽게 이야기한 책으로 누구에게나 추천할 수 있는 책 바로 "EBS의 자본주의" 방송도 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유튜브에도 올라와 있으니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페이지 18자본주의 세상의 현실에서는 절대로 물가가 내려갈 수 없다.페이지 19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비밀은 바로"..
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