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을 알고 부를 쌓아야

2024. 10. 7. 07:00생각정리

반응형

금융은 우리가 자본주의 세상을 살아가는데 가장 소중한 지식이자 지혜 중 하나이다.

 

그런데 학교에선 금융, 투자, 경제에 대해 가르치지 않고, 오히려 돈 공부를 하는 학생을 별로 좋지 않은 시각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학교를 떠나 사회 전반적으로도 그렇다 돈을 쫒으면 속물이라고 비하하는 사례가 있다.

 

왜 그럴까?

 

기본적으로 현대사회의 학교는 산업사회에서 필요한 종업원이 되기 위한 사회성과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회사의 입장에서는 종업원이 굳이 금융 지식이나 경제 지식이 풍부한 것을 원하지 않는다. 똑똑하면 자신들의 부를 나눠야 하는 데 굳이 파이를 나눌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회사에서 필요한 종업원은 딱 급여소득 받으며 일할 수 있을 만큼의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만족하는 것이다.

옛날 우리 조상들이 노비에게 한자를 가르쳐 주지 않았으며, 양반들끼리 천한 신분의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없는 단어들로  이야기하고 한자를 활용하여 글을 썼던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 때 기득권층에서 얼마나 많은 반대 있었는 지도 알것이며, 상소문에 언문이라고 천시 했었다.

그런 반대를 뚫고 한글을 공표한 세종대왕은 정말 정말 대왕으로 생각하고 있다.

비로소 양민들도 글을 배우고 쓸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이다.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글을 알게되면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생가기기 시작한 것이다.

다시 돌아가서 양민, 상민, 천민들이 글을 알고 똑똑해지면 양반들이 그들을 다루기 힘들어진다. 그래서 반대한 것이다.

기득권층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부를 뺏기기 싫어하고, 독식하고자 한다.

누구든 그러하며, 그것이 권력인 것이다.

이러한 사회에서 피해를 보지 않고, 자신의 권리를 누리려면 반드시 지식이 필요하다.

특히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선 금융과 투자에 대해서 모르면 절대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없다.

물론 나처럼 물려받은 것이 없는 사람들에 한정해서 말이다.

 

인간은 평등하지만, 이미 태어날 때부터 불공정한 게임을 하고 있다.

이 불공정한 게임을 깨뜨리고 자유를 얻으려면 금융과 투자를 공부를하여 부를 축척하여야 한다.

돈이 많다고 행복한 건 절대로 아니지만, 돈이 있으면 남에게 비굴할 일이 적고, 굳이 싫은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

 

즉 돈이 많아서 행복한 것은 아니지만 돈 때문에 불행할 일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행복해질 기회가 많아 지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