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60)
-
나의 투자 복기
1. 나의 초창기 투자 방법, 2000년대 초반매일 퇴근해서 늦은 밤까지 차트를 분석했다. 코브라, 골든 크로스, 세력매집 이런 것들을 찾아 나도 숟가락을 얹기위해 종목을 찾아 다녔다.그 당시 차라리 차트만 보고 기업을 보지 않았다면 차라리 성과가 더 좋았을 텐데, 차트를 분석하고 또 기업분석을 대략하고 재무도 뒤적거렸다.그때 공부했던 기업들의 업종을 아직도 기억하기 때문에 지금도 회사의 업종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수박 겉핥기식이였기에 투자에서는 성과를 낼 수 없었다.그리고, 잦은 매매(단타, 데이트레이딩)로 수수료가 이익보다 많은 해도 있었다. 2. 그 후 대기업 위주, 2008년 쯤 금융위기 직전까지뭐 알고 한 것은 아니고, 이전까지 중소기업을 사고 팔다 보니 너무 많은 변동성과 잦은 ..
2024.01.24 -
테슬라 주가 상승을 위한 모멘텀
테슬라가 FSD 베타버전 12를 출시했다고, 자동차 매체 일렉트렉이 발표했습닏다.이번 업데이트에는 end-to-end 즉 종단간 신경망이 라고 부르는 기능이 포함되었습니다.이전 FSD와 가장큰 차이점은 차량제어 시스템이 인공지능(AI)에 의해 처리된다는 점입니다.테슬라는 이번 업데이트에서 "FSD beta12는 수백만 개의 영상 클립으로 훈련된 종단간 심경망으로 업그레이드해 30만줄 이상의 명시된 C++코드를 대체한다고 밝혔습니다.이것은 차량의 동작이 코딩이 아닌 AI에 의해 구동된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이번 FSD beta12가 본격적인 AI 인 것입니다.테슬라의 주가는 최근 나락으로 떨어졌는 데 앞으로 전환기를 맞을 지 지켜보아야 합니다. 테슬라 주가의 모멘텀은 아래와 같이 크게 4가지라고 ..
2024.01.23 -
습관의 힘_열심히 생활한 직장 생활은 꼭 되돌려 준다.
회사는 개인의 미래를 책임져주지 않는다. 개인의 미래는 스스로 알아서 준비해야 한다. 이런 말이 있다, 회사는 근로자가 그만 두지 않을 만큼만 급여를 준다. 그리고, 일을 잘하는 근로자에게는 항상 일을 더 많이 준다. 그래서 항상 바쁜 사람만 바쁘다. 바쁜 사람을 쌓여 있는 일들을 처리하느라 본인의 일이 남들보다 얼마나 많은 지 알지 못한다. 그렇다고 그러한 삶을 잘 못 산것은 아니다.열심히 묵묵히 하는 습관은 익히기 어려운 습관이다. 이러한 습관은 모든 행동의 믿거름이 된다. 좋은 습관을 가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나는 알고 있다.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성실한 습관을 가진 사람은 무슨 일을 하던 간에 열심히 할것을 알 수 있다. 이제부터는 본인의 미래에 대해서는 곰곰히..
2024.01.22 -
국채의 금리
국채의 금리 결정 원리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됩니다.국채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국채 가격이 상승하고, 국채 금리는 하락합니다. 반대로, 국채의 수요가 공급보다 적으면 국채 가격이 하락하고, 국채 금리는 상승합니다.일반적인 물품은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가격이 하락 한다. 하지만 국채는 안전하기 때문에 국채를 매입하려는 수요가 많으면 금리를 낮출 수 있습니다.
2024.01.20 -
미국 시장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미국 시장이 전세계 주식시장의 시가 총액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비율은 2.5%를 차지하고 있다. 아래 표는 2024년 1월기준 각국의 주식시장 시가총액 및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애국도 좋지만 투자는 돈을 벌기 위해 라는 것이다.50%를 점유하고 있는 곳에 투자해야 하는지 아니면 2.5%인곳에 투자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자.내 생각에 미국에 50%는 무조건 투자해야 하는 것이 이성적인 판단으로 생각 된다. 그렇다고 비율대로 우리나라에 2.5% 중국에 11.5%를 투자하라는 것은 아니다.미국은 글로벌기업이 특히 빅테크(M7)이 있는 나라이고 정치적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나라이니 투자를 권한다. 그리고 세계의 모든 투자자들이 미국에 투자하고 있어 세계의 돈이 집중 되고 있다. 그뿐아닌 미국중앙은..
2024.01.19 -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와 자세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사람마다 투자를 결심했을 때 모두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주위에서 돈을 벌렀다고 하니 시작한사람조 있었늘 테고, 조기 은퇴를 위해 시작하는 사람도 있었을 테고 등등..나는 정년 퇴직 후 자유로운 삶을 살기위해 시작 했다. 너무 소박한거 아니냐고? 목표를 정하려면 경제적 자유를 얻어 조기은퇴하고 이후 세계여행과 블라 블라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냐고. 그러고 싶지만 내 능력이 욕심이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나의 목표는 단지 퇴직 후 내 시간을 오롯이 내가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다.만일 경제활동을 하더라도 어느 곳에도 구속 받지 않는 삶을 살고 싶다. 그러기 위해 지금의 노동력을 활용해 최대한 투자하고 있다.노동이 분명 가치 있는 것이지만 투자또한 가치있고 투자자 또한 존중 받아야 한다..
2024.01.18 -
경제 순환
고물가/고성장 => 고물가는 성장을 위축시키게 됨 => 고물가/저성장 => 고물가(인플레)를 잡기위해 금리를 높아지며 이로 인해 물가상승이 위축됨 => 저물가/저성장 => 유동성 공급 => 고물가/고성장상승은 공포에서 시작한다.저물가 저성장 시대에 투자해야 하는 회사는 어디일까?성장하는 회사에 투자해야 하지 않을까? 성장하는 회사는 빅테크 그래서 애플/MS/테슬라/ 알파벳/ 엔비디아 등 아닐까?고성장, 고물가의 시기 좋은 인프레이션 경기가 성장하면서 수요의 증가로 물가가 오르며 주가도 상승하는 시기 경기 성장 / 물가 상승 / 주가 상승 / 장단기 금리차 확대고성장 저물가 좋은 인프레이션 세계화로 인하여 경기는 성장하고, 생산단가는 낮아 물가상승은 제한적인 시기 경기 성장 / 물가 하락 / 주가..
2024.01.17